segioHelp(All)/쎄지오도움말 4.0(ko)



1.2 쎄지오 설치
인쇄
 
2009-07-09 10:24:41
조회:17831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1.2 쎄지오 설치

설치동영상보기


  쎄지오(SEGIO)는 리눅스(Redhat계열)에 최적화되어 개발된 웹데몬입니다. 호환 가능한 리눅스 운영체제는 RedHat 계열, 아시아눅스, CentOS (Centos 5.x ~ Centos 6.3  버전 권장) 등의 리눅스 패키징에서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합니다.  

  다음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설치용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http://file.segio.com/

  리눅스 2.6 커널 기반의 32비트, 64비트 버전이 tgz 압축파일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사용권설명, 설치도움말, 설치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에서 설치 도움말을 참조하여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설치 및 기타 문의 사항은 Q&A(http://segio.com/qna.brd) 게시판 또는 FAQ(http://segio.com/faq.brd) 게시판을 이용하면 됩니다.

 

* 설치전 유의사항

 - 쎄지오는 리눅스 기반의 웹데몬이므로 기본적인 리눅스에 대한 관련 지식이 있어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 쎄지오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신 분들은 동영상매뉴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모든 설치 과정은 "root"계정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 다운로드는 최종갱신일을 확인하여 받으시기 바랍니다.

 - 의존적 패키지 및 솔루션(Postfix, PostgreSQL 등) 설치가 완료돼 있어야 합니다.

 - 리눅스 보안 강화 설정인 SELinux를 비활성화(disabled) 해야만 정상적인 설치가 가능합니다.

 - SELinux를 활성화 한 후 SEGIO를 설치하게 되면 DB설정 과정 중에 초기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DB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가 발생합니다.

 - 새롭게 출시된 쎄지오 4.2버전은 IPv4, IPv6 접속체제 모두 호환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IPv6모듈이 활성화 돼 있어야만 합니다.

► 설정 완료 후엔 리눅스 시스템을 재부팅 하시기 바랍니다.

 

* 의존적인 패키지 및 솔루션

  쎄지오가 정상적으로 설치되고 운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각각의 패키지는 서버 설치시 함께 설치하거나 인터넷에서 관련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셔야만 합니다.

 

  1. 포스트픽스 (Postfix)

포스트 픽스는 대부분의 리눅스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쎄지오는 웹메일 서비스를 위하여 postfix와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포스트픽스는 센드메일과 같은 MTA로써 웹메일에 필요한 가상계정으로 메일을 주고받기에 많은 장점이 있으며 센드메일에 비해 환경설정이나 관리가 간편한 훌륭한 소프트웨어입니다. 간혹 기본설치시 빠진 경우가 있지만 yum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간편하게 인스톨 할 수 있습니다. 인스톨 방법은 해당 리눅스에 관련된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외국에서는 널리 사용되고 잘 알려져 있지만 아쉽게도 국내에는 잘 모르는 사람도 많으며 일부 국내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배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CentOS, Redhat, Fedora, Asianux, Ubuntu 등 대부분의 배포판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설치 방법: yum -y install postfix*  또는 yum -y install postfix-* 명령어로 설치한 뒤 system-switch-mail(설치방법: yum -y install system-switch-mail) 명령을 통해 MTA를 postfix로 변경합니다.

 

  2. 포스트그레스큐엘(PostgreSQL)

  pgsql로도 불리며 전세계적으로 리눅스와 같은 오픈소스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단체인 GNU가 밀고 있는 가장 유력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입니다. CentOS, Redhat, Fedora, Asianux 등 대부분의 배포판에 기본적으로 패키징 되어 있습니다. 아쉽게도 일부 국내 리눅스 배포판에서 배제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배포판에 패키지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설치 방법: yum -y install postgresql* 또는 yum -y install postgresql-*

 

  3. 젠드옵티마이저 (ZendOptimizer)

쎄지오의 일부 관리도구 및 웹어플리케이션은 PHP코드로 작성되었습니다. PHP의 가속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쎄지오의 웹어플리케이션은 Zend엔코딩되어 패키징되었습니다. 젠드는 별도의 설치과정이 필요치 않습니다. SEGIO설치 시에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 postfix, postgresql 을 패키지에서 제외한 일부 국내 리눅스배포판에 대해서는 기업간의 협력관계를 갖고 패키지에 추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1) 쎄지오 다운받기 및 설치

맨위로

 

 
  쎄지오 설치를 위하여 쎄지오 배포버전을 http://segio.com/   "다운로드 서비스" 에서  다운로드 합니다.

쎄지오 배포버전은 tar.gz 로 압축되어 있습니다(segio_4.2.5.tar.gz이 아닌 다른 이름으로 저장 됐을 시 mv명령을 통해 압축파일로 이름을 변경합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을 수행하여 압축을 해제합니다.

 “tar -xvzf segio_4.2.5.tar.gz"를 작성하여 압축을 해제합니다.

 

압축을 해제하면 SEGIO 디렉토리가 생성되며 다음과 같은 파일들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가.  설치 스크립트 실행

"install.sh" 파일은 쎄지오를 최초로 설치하거나 삭제하거나 바이너리 업데이트를 위하여 제공됩니다. 정상적인 인스톨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시스템관리자(root)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다음과 같이 인스톨 셸을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sh install.sh"

 

셸 스크립트가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엔터키를 누르면 다음의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인스톨 셸은 설치에 앞서 몇가지 사항을 체크한 후 바이너리를 설치합니다.

자동으로 시스템을 체크하여 64비트 운영체제인지 32비트 운영체제인지 확인하며 해당 운영체제에 맞는 바이너리들이 작동되도록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쎄지오의 일반 운영을 위한 시스템 아이디(계정)를 입력합니다.

쎄지오의 시스템 아이디는 기본값으로 "segio"로 되어 있습니다. 변경이 가능하지만 원만한 서비스 운영을 위해 "segio"로 지정하시기 바랍니다.

(기본 설정값을 사용할 경우 별도 기입 없이도 엔터키 입력만으로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다음으로 쎄지오 웹서비스가 운용될 기반 디렉토리를 입력합니다.

쎄지오는 기초 바이너리를 "/etc/shttpd/" 이하에 구성합니다. 기초 바이너리 이외에 쎄지오의 운용 데이터들이 위치하는 운용기반 디렉토리를 별도로 지정해야 합니다. 기본값은 쎄지오 권한자의 홈디렉토리로 지정됩니다. 쎄지오 운용을 위한 대용량 디스크 등이 운용될 때는 이부분을 변경하여 지정하도록 합니다.

 

 

다음은 쎄지오의 기본 홈페이지 서비스의 기본단위인 인트라셀을 설치합니다. 인트라셀은 쎄지오 웹서비스의 기본단위로서 하나의 독립적인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쎄지오 바이너리가 설치되고 운용되어도 인트라셀이 설치되지 않으면 웹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인트라셀은 운용기반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되며 cell000, cell001... 등으로 이름이 붙여질 수 있습니다. 이름은 별도로 지정할 수 있으며 라이선스에 따라 1개 서버에서 최대 1000개까지의 인트라셀이 설치될 수 있습니다.

인트라셀 네임은 추후 DBMS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이므로 정확한 이름을 입력하도록 합니다.

 

  

다음은 인트라셀이 웹서비스해야 할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도메인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기본값인 localhost를 입력하고 추후 웹관리도구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원만한 웹서비스(웹메일 등)를 위해서는 반드시 정상적인 도메인을 지정하도록 해야 합니다.

 

 

쎄지오의 기본배포버전은 DBMS로서 포스트그레스큐엘을 채택하여 구성하였습니다. 따라서 포스트그레스큐엘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지 검사하게 됩니다.

DBMS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인트라셀 별 DB 생성 또는 변경에 꼭 필요하므로 별도 메모 등을 통해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서비스 포트를 지정합니다. 웹데몬의 서비스포트는 80번 포트를 기본적으로 사용합니다. 쎄지오는 스스로가 웹데몬이기 때문에 아파치와 같은 웹데몬이 함께 같은 서버에서 실행된다면 우선순위에 따라 80번 이외의 포트를 지정해야할 필요도 있습니다.

쎄지오만 사용한다면 80번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쎄지오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설치관련 요약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나. 웹브라우저 실행

웹브라우저를 실행하고 "http://웹서버 아이피번호(localhost)" 또는 "도메인주소"를 입력하여 설치결과를 확인합니다.

처음 설치된 쎄지오는 기본적인 홈페이지를 제공합니다. 다음은 처음 제공되는 웹서비스 화면입니다.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관리자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최초 인트라셀 설치시 관리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디  : sysop

비밀번호: segio

 

 

쎄지오에 로그인하면 관리자는 사용자 관리화면으로 이동하여 반드시 sysop의 비밀번호를 다른 것으로 변경하여야 합니다.

 

2) CMS 용 템플릿 설치 및 설정

맨위로

 

 

 

     쎄지오사이트(segio.com)에서는 쎄지오의 초보사용자들을 위하여 다양한(350여종 이상) 웹CMS용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쎄지오의 전문적인 숙련도가 있어 독창적으로 홈페이지를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 이외에는 템플릿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마.  로그인 후에는 템플릿 설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가 표시됩니다.

 쎄지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스타일의 템플릿 또는 직접 제작한 템플릿  중 원하는 모델을 선택하여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한 "템플릿 설치 모드"와 쎄지오 관리기능을 이용하여 직접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전문가 설치 모드"가 있습니다.

 

                 

                                                                                                 

   바.  템플릿 목록에서 마음에 드는 템플릿 이미지를 클릭합니다.

    -  선택한 템플릿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  “모델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  "모델설치"를 선택하면 템플릿 설치 페이지가 새창으로 뜨게 됩니다.

 

 

   아.  “템플릿 설치”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자.  “템플릿 설치”페이지에서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차.  “템플릿 설치”페이지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카.  “홈페이지로 이동”을 클릭하면 메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타.  새롭게 설치된 메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쎄지오 실행경로

맨위로

 

       쎄지오는 리눅스 시스템의 "/etc/shttpd/" 경로에 설치됩니다. 다음은 설치된 해당 경로의 하위디렉토리의 구조와 간단한 설명을 담고 있습니다.

 

 

/etc/shttpd/

bin/

→ 기본 실행파일 위치

cgi-bin/

→ 응용 웹애플리케이션 위치

conf/

→ 환경설정 파일, 언어지정파일 위치

data/

→ 응용 템플릿, 인트라셀 모델 자료 위치

icons/

→ 공유웹자원 디렉토리 위치

logs/

→ 로그분석 자료 위치

tmp/

→ 임시 작업파일 위치


   쎄지오 실행경로에는 주로 환경설정과 서비스 운용을 위한 바이너리, 준비자료파일 등이 위치합니다.

  가. 쎄지오 인트라셀 경로

 

  쎄지오의 웹서비스는 '인트라셀'단위로 제공됩니다. '인트라셀'이란 하나 이상의 도메인에 대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며 독립적인 디렉토리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사용자관리, 게시판, 동호회, 전자결재 등의 모든 서비스는 '인트라셀'별로 독립적으로 운용됩니다. 다음은 설치과정에서 기본으로 설정되는 0번 인트라셀의 웹서비스 경로입니다. 

 

/home/segio/cell000/

0 번 인트라셀의 웹서비스 경로


   쎄지오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인트라셀이 없다면 웹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home/segio/" 경로는 기본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실제 운용상에서는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쎄지오 시스템 환경

맨위로

   

 

 

쎄지오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하여 시스템 사용자는 'segio'로 설정하고 리눅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환경요소를 갖추어야 합니다.

 

PostgreSQL 8.*

→ 사용자관리, 게시판, 일정관리, 전자결재 등

Postfix

→ 웹메일 연동

   *PostgreSQL은 공개소프트웨어로서 저작권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DBMS입니다. 쎄지오는 이밖에 MySQL, Oracle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쎄지오 주요 환경설정은 지정된 텍스트 파일에 저장합니다. 웹관리도구가 제공되며 편집기에 의한 직접 편집도 가능합니다.

 가. 환경설정 경로

 

  쎄지오 환경설정을 위한 파일은 “/etc/shttpd/conf"하위에 위치하며 다음과 같은 파일이 위치합니다. 실제 운용 환경의 필요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shttpd.conf

→ 기초 환경설정 (웹관리도구 제공되지 않음)

fileicon.conf

→ 파일 확장자에 따른 아이콘 표시 환경설정

hosts.conf

→ 인트라셀, 버추얼호스팅 환경설정

gmodel.conf

→ 동호회 모델 설정 파일

mimetype.conf

→ 파일 확장자에 따른 마임설정

m_virtuser.conf

→ 웹메일 버추얼 유저 추가지정

m_localhost.conf

→ 웹메일 로컬호스트 추가지정

ssl.conf

→ 웹 보안서버 설정파일

word-*.conf

→ 각종 언어지정 파일

 

 나. 기초 환경설정(shttpd.conf)

 

  "shttpd.conf"파일은 시스템 편집기를 이용하여 편집하여야 하며 편집 후에는 반드시 쎄지오를 재 실행시켜야 합니다. 다음은 shttpd.conf 파일의 예시입니다.  

 

NAME

"쎄지오 홈페이지"

→ 쎄지오 시스템 이름

IPADDRESS

"192.168.10.112"

→ 쎄지오 시스템 IP 어드레스

USER

"segio"

→ 시스템 권한 사용자 ID

GROUP

"segio"

→ 시스템 권한 그룹 ID

ADMIN

"summer@0 wind@1"

→ 쎄지오 관리자 지정

HTTPPORT

"80"

→ 웹서비스 운용포트

SSLHOST

"ssl.segio.com"

→ 대표 웹보안서버 도메인주소

FLAG_MAIL

"ON"

→ 웹메일 지원여부 (On/Off 지정)

SERVER

"192.168.1.2 192.168.1.1"

→ 서버 다중화 대상 아이피 주소

KeepAlive_Timeout

"30"

→ 웹서버 커넥션 유지시간 (기본 30초)

Posting_Timeout

"50"

→ 포스팅 시 커넥션 유지시간 (기본 30초)

ListenBackLog "256" 웹데몬의 최대 소켓 대기열 수(기본값 25)
Httpd_Prefork "60" → 웹데몬 대기 프로세서 생성수 (기본:60)

VERSION

"4.0"

→ 쎄지오 버전표시

 

   shttpd.conf 파일이 "/etc/shttpd/conf/"디렉토리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etc/shttpd.conf"파일을 참조하여 환경변수를 읽습니다.SERVER 항목의 지정은 두 개이상의 서버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웹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만 지정합니다. 우선순위가 높은 서버의 IP어드레스 순으로 지정하여야 하며 서버간에 최단간 라우팅 경로가 제공되는 IP 어드레스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keepalive_timeout 은 웹서버 커넥션의 유지 한계시간을 지정합니다. 지정된 시간 내에 아무런 데이터를 읽을 수 없을 때 접속을 해제하고 웹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keepalive 모드로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웹브라우저는 접속이 해제된 후에 필요하면 다시 접속을 개설하므로 짧게 지정한다고 해서 서비스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posting_timeout은 웹서버에 자료를 전송할 때 데이터 흐름을 관찰하여 지정된 시간내에 1바이트의 데이터도 이동하지 않는다면 접속을 해지하고 웹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게 됩니다.DDOS 공격으로 커넥션이 열린 채 지속되면 새로운 접속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정도의 keepalive_timeout, posting_timeout 값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시스템에 설정하지 않았을 때기본값은 30초로 동작됩니다.

 다. 쎄지오 관리자 지정

 

“쎄지오 관리자”는 웹호스팅 및 웹서버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ADMIN "summer@000 wind@001"

→  0번 인트라셀의 summer, 1번 인트라셀의 wind


    인트라셀 사용자 아이디와 인트라셀의 번호를 '@'기호로 조합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공백을 구분으로 여러 명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인트라셀에서도 관리자 등급으로 지정되어야 합니다.

 

 라. 서버 다중화 지정(SERVER)

  서버 다중화란 스토리지 기반에 분산서버를 배치하고 만약 서버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중단 없이 서비스가 되도록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기능은 쎄지오 웹데몬에 다중화 엔진이 탑재된 경우에만 작동됩니다.   

 

SERVER    "192.168.4.101 192.168.4.222"

   구성방식은 다중화에 사용되는 서버 IP 주소를 공백을 이용하여 입력하면 됩니다. 먼저 입력된 순서대로 인증데몬 우선순위를 가지게 됩니다.
  본 기능은 다중화의 목적이 아니라면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마. SSL 관련 라이브러리 환경

 쎄지오는  https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libssl.so, libcrypto.so의 두 가지 라이브러리를 준비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인 리눅스시스템에 openssl을 설치하면 이 두 가지 라이브러리가 시스템에 준비되게 됩니다. 주의할 사항은 바이너리에 컴파일된  라이브러리링크 경로와 실제 리눅스 시스템에 설치된 라이브러리 경로가 다르면 정상적인 ssl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ldd명령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바이너리의  라이브러리 상태를 확인합니다.

 

root@laptop:/# ldd /etc/shttpd/bin/https
    linux-vdso.so.1 =>  (0x00007fff225fe000)
    libssl.so.4 => /lib/libssl.so.4 (0x00007fc51a0b9000)
    libc.so.6 => /lib/libc.so.6 (0x00007fc519d47000)
    libcrypto.so.4 => /lib/libcrypto.so.4 (0x00007fc5199be000)
    libdl.so.2 => /lib/libdl.so.2 (0x00007fc5197ba000)
    libz.so.1 => /lib/libz.so.1 (0x00007fc5195a2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c51a308000)

   ldd  명령은  동적으로 연계된 라이브러리의  목록을 보여주도록 합니다.  각 줄마다  라이브러리 연결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링크될  라이브러리의  실제 경로명을 나타냅니다. 시스템에 라이브러리가 준비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이 'not found'로 나타납니다.

 

    linux-vdso.so.1 =>  (0x00007fffc3fff000)
    libssl.so.4 => not found
    libc.so.6 => /lib/libc.so.6 (0x00007f6cbb9f4000)
    libcrypto.so.4 => /lib/libcrypto.so.4 (0x00007f6cbb66b000)
    /lib64/ld-linux-x86-64.so.2 (0x00007f6cbbd66000)
    libdl.so.2 => /lib/libdl.so.2 (0x00007f6cbb467000)
    libz.so.1 => /lib/libz.so.1 (0x00007f6cbb24f000)

  libssl.so.4 가 없으면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libssl.so 관련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고 그 파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링크한 후 다시 확인합니다. 라이브러리가 없는 경우 openssl을 설치해줘야 합니다.

 

root@laptop:/# ls /lib/libssl.so.*
/lib/libssl.so.0.9.8

root@laptop:/# ln -s /lib/libssl.so.0.9.8 /lib/libssl.so.4

  위의 ls 명령 결과를 보면 /lib/libssl.so.0.9.8 파일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파일명은 시스템에 따라 다릅니다.두 번째 명령으로 심볼릭 링크를 생성해주면  ldd명령으로 확인했을 때 정상적으로 보여집니다.심볼릭 링크의 첫 번째 파일 경로는 시스템에 설치된 실제 파일경로를 입력하며 두 번째 파일경로는 https 에서 필요로 하는 경로명을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동일한 방법으로 libcrypto.so.*  부분도 점검해주시기 바랍니다. 

 바. 인트라셀 설정(hosts.conf)

 

  쎄지오 웹서비스의 기초 단위인 인트라셀과 버추얼홈 등을 지정하는 파일입니다. 다음 그림은 2개의 인트라셀이 운용중인 쎄지오 서버의 모식도입니다.  

 5) 쎄지오 실행

맨위로

   

 

 

쎄지오는 root 권한으로서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root@sm home]# /etc/shttpd/bin/shttpd

 

   설치 과정에서 서버가 재실행할 때마다 쎄지오를 자동으로 실행시키도록 설정합니다. 다음은 쎄지오을 시작, 재시작, 정지시킬 때 사용하는 스크립트 명령입니다.

 

[root@localhost ~]# service shttpd start → 쎄지오 서비스 시작
[root@localhost ~]# service shttpd restart → 쎄지오 서비스 재시작
[root@localhost ~]# service shttpd stop → 쎄지오 서비스 중지

   위와 같은 명령어로 서비스를 시작한 경우에는 shttpd의 콘솔에러 메시지를 볼 수 없습니다. 서버의 정밀한 진단을 위하여 콘솔에러 메시지를 보기위해서는 바이너리를 직접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
댓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