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gioHelp(All)/쎄지오도움말 4.0(ko)



1.3 쎄지오 기본설정
인쇄
 
2009-07-09 10:25:07
조회:9991
답글지움수정 아랫글 목록 윗글

 

1.3  쎄지오기본설



1) 인트라셀 관리자

맨위로

 

 

 

   본 설명에서는 웹관리툴에 의한 쎄지오 환경설정부분을 설명합니다. 쎄지오 웹데몬의 환경설정인 "/etc/shttpd/conf" 파일의 설정방법은 쎄지오 설치부분의 기초 시스템 환경설명부분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시스템 콘솔에서 설정을 변경했을 시엔 반드시 데몬을 "재실행"해야 적용이 완료됩니다.  [ 명령어: service shttpd restart ]

 아래 그림은 시스템에서의 환경설정에 대한 내용의 일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etc/shttpd/conf/hosts.conf" 내용)

 

 

 인트라셀 관리자는 인트라셀의 소유자 및 웹마스터로 지정된 사용자로 정의됩니다.  쎄지오 관리자는 특정 인트라셀의 인트라셀관리자로 지정되어야 합니다. 쎄지오 관리자가 로그인하여 관리도구에서 "쎄지오 관리"를 선택하면 쎄지오관리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쎄지오관리”는 화면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호스트설정, 언어설정, 마임설정, 아이콘 설정,  SSL 설정, 시스템 정보 등의 하위 관리 메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버의 모든 인트라셀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될 웹서비스의 환경설정 항목으로는 파일아이콘, 마임타입, 언어별 사전, 동호회모델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든 인트라셀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며 "/etc/shttpd/conf/"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Cell 000, Cell 001, Cell 002, Cell 003 은 웹서비스의 기본단위인 인트라셀을 가르킵니다.

그림의 아랫부분은 사용권 정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Cell 025”은 비어 있는 영역으로 나타나는데 번호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인트라셀을 추가하도록 인트라셀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인트라셀을 설치하더라도 사용권 수(라이선스)를 초과한 번호의 인트라셀은 작동되지 않습니다.

 

 

 

 

2) 호스트 설정

맨위로

 

 

 

  다음 그림은 쎄지오 관리도구입니다. 그림에는 Cell 000 ~ Cell 025까지 표시되어 있으며 000번 ~ 024번까지 총 25개의 인트라셀이 서비스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호스트네임을 클릭하면 해당 인트라셀의 환경설정도구로 전환됩니다. 인트라셀 환경설정은 인트라넷 관리자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인트라셀의 번호를 클릭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인트라셀의 설정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왼편은 인트라셀의 세부 설정하는 영역입니다. 오른편은 가상 홈페이지를 설정하는 영역입니다. “인트라셀 현황"영역은 인트라셀내 정보들이 나타납니다. 설정항목의  항목별 의미와 설정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인트라셀 설정

호스트 네임 서비스 할 호스트네임을 등록하며 줄 단위로 구분하여 복수로 입력합니다. 
이름 사이트를 대표하는 이름을 기입합니다.
기반경로 인트라셀 운용 데이터들이 시스템에 위치할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POP3 포트번호 POP3 설정 시 포트를 지정합니다. 다수의 인트라셀 사용 시 셀별로 다른 포트 번호를 지정해야 합니다.
Email호스트 전자우편 주소에 사용될 호스트 네임을 입력합니다.
호스트 정지 체크 시 해당 인트라셀은 웹서비스가 정지됩니다.
할당용량 인트라셀에 할당할 용량을 지정합니다.(MByte 단위)
일일전송제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량을 지정합니다.
게시판허용수 개설할 수 있는 최대 개시판의 수를 지정합니다.
최대동호회 개설할 수 있는 동호회 수를 지정합니다.
최대사용자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수를 지정합니다.
최대로그인 웹사이트에 한번에 로그인 할 수 있는 사용자 수를 지정합니다.
최대메일사용자 사용할 수 있는 전자우편의 수를 지정합니다.
최대메신저사용 메신저에 등록할 수 있는 최대 사용자 수를 지정합니다.

하단의 "Passwd Time"은 인트라셀 로그인을 위해 참조하고 있는 passwd 파일의 최근 갱신 시간을 표시합니다.  
 

나. 버추얼 홈페이지 (Virtual Home)

  인트라셀에 회사의 홈페이지를 운영한다면 가상홈페이지는 이벤트나 상품의 홍보를 위한 별도의 홈페이지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웹서버에 접근하는 URL과 대응하는 실제 디렉토리와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1.http://sm.kseek.com/ →/home/segio/cell/html/
 2.http://sm.kseek.com/segio/ →/home/segio/cell/html/segio/
 3. http://segio.com/ →/home/segio/cell/html/segio/segio

 

  2번, 3번은 동일한 화면으로 서비스됩니다. 가상홈페이지는 인트라셀 "html/"의 상대적인 위치로 지정되며 인트라셀관리자가 웹관리도구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 신규 인트라셀 설치

  호스트목록에서 비어있는 인트라셀 번호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신규 인트라셀을 등록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신규 인트라셀은 디렉토리 부분의 설정이 다르게 보입니다.

 만일, 인트라셀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권 수를 초과한 번호의 인트라셀은 작동되지 않습니다.

 

  "Default"를 클릭하면 기본값으로 설정됩니다. 각종 사항들을 입력하고 인트라셀 서비스 디렉토리를 입력합니다. 선택창에서 기초적으로 생성할 인트라셀 모델을 선택합니다.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기본 설정값들이 자동 적용됩니다. 적용된 값들은 수정할 수 있습니다.

"생성"부분의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적용"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인트라셀이 생성됩니다.

생성된 인트라셀은 별도의 DB 설정 과정을 거쳐야 인트라셀 생성이 완료됩니다. 호스트 설정 목록에서 추가한 인트라셀 호스트 네임 옆의 DB설정 버튼 "#"을 클릭합니다.

 

 

 DBMS를 선택한 뒤 빈 항목에 설정 값들을 입력합니다.

 DBMS 관리자 항목에서는 쎄지오 설치 시 입력했던 DB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입한 뒤 적용하기 버튼을 누르면 DB 설정이 완료됩니다.

 

마지막으로 호스트관리 리스트 하단의 "변경사항 적용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인트라셀 추가 설치가 모두 완료됩니다.

 

 

 

3)  언어 사전 설정

맨위로

 

 

 

 

  인트라셀마다 지배적인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 쎄지오관리자는 지원하게 될 언어별로 사전을 설정합니다. 다음은 한국어 사전설정 관리화면의 일부입니다.

 

 

 

 

  각 인트라셀은 쎄지오관리자가 설정된 언어사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삭제하기"버튼을 클릭하면 삭제됩니다. 새로운 언어를 추가하려면 2자의 영문자로 된 이름을 입력하고 "신규추가"버튼을 클릭하고 저장하면 생성됩니다.

 

lang.fonts 지정

 해당언어에서 유효한 폰트패밀리를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여 복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매크로 $#word.font[0]#; 등의 방식으로 번지수를 지정하여 꺼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폰트패밀리의 지정방식은 유효한 복수의 폰트네임을 공백없이 쉼표(,)로 구분하여 하나의 폰트패밀리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폰트 자체에 공백이 있을 경우 큰따옴표로 가두어넣어야 합니다. 폰트네임 자체에 공백이 포함된 경우에는 폰트네임을 'Times New Roman' 인용부호로 감싸서 표현합니다. 한국어의 경우 굴림, 굴림체, 바탕, 바탕체 등의 폰트가 있는데 바탕과 굴림의 경우 영문이 가변폰트로 되어 웹에서 보기 적정하나 바탕체와 굴림체의 경우에는 영문폰트가 고정폰트여서 웹에서 보기 적절치 않은 경우가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여러 개의 폰트패밀리는 공백없이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여 지정해야 합니다.

 

폰트패밀리는 하나이상 반드시 지정해야 합니다.

폰트패밀리 참조시 없는 번지수는 기본적으로 첫번째 것으로 적용됩니다.

 

- 언어별 폰트패밀리 사용정책

폰트패밀리는 기본적으로 다섯가지로 구분해서 사용하기로 합니다.

0 -  1종 컨텐츠에 사용될 폰트패밀리  font-family:$#word.fonts[0]#;;

1 -  2종 컨텐츠에 사용될 폰트패밀리  font-family:$#word.fonts[1]#;;

2 -  3종 컨텐츠에 사용될 폰트패밀리  font-family:$#word.fonts[2]#;;

3 - 1종 메뉴에 사용될 폰트패밀리       font-family:$#word.fonts[3]#;;

4 - 2종 메뉴에 사용될 폰트패밀리       font-family:$#word.fonts[4]#;;

5 - 관리도구에서 사용될 폰트패밀리   font-family:$#word.fonts[5]#;;

 

위와 같은 기준으로 쎄지오 상의 모든  SS 파일의 폰트패밀리에 대한 지정을 완료하면 됩니다.

 

4) 마임타입 설정

맨위로

 

 

 

 

  마임(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타입은 웹서버가 웹브라우저에 파일자료를 전송할 때 파일의 확장자로부터 파일의 형식을 미리 웹브라우저에게 알려주기 위해 설정합니다.  다음 그림은 마임타입설정 도구화면입니다.

 

 

 

  왼편에는 마임타입, 오른편에는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처음 확장자에 해당하는 이미지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그림의 하단부에 공백으로 표시된 입력부분이 있습니다. 그 곳에 새로운 마임타입, 관련 파일의 확장자명을 입력하고 “적용”버튼을 클릭하면 마임타입이 추가되고 화면이 갱신됩니다.  마임타입이름과 확장자 종류의 입력부분을 지운 후 "적용"을 클릭하면 삭제됩니다.

 

 

5) 아이콘 설정

맨위로

 

 

 

 

  모든 인트라셀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 표시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아이콘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음 그림은 아이콘 설정도구입니다.

 

 

 

 가. 디렉토리 아이콘

  디렉토리 아이콘은 웹디렉토리관리, 웹메일 주소록 등에서 디렉토리 구조를 표시에 사용됩니다. dir_list.gif, dir_last.gif는 각각 디렉토리 목록에서 중간에 연결된 선을 포함하여 가로 및 세로 크기가 다소 초과되는 것을 허용합니다.

 

파일이름

규격

용도

비고

dir.gif

16 x 16

일반 디렉토리 표시

 

dir_new.gif

16 x 16

새 디렉토리 표시

 

dir_open.gif

16 x 16

현재 열린 디렉토리 표시

 

dir_share.gif

16 x 16

공유 디렉토리 표시

 

dir_list.gif

22 x 20

트리구조에서 일반 디렉토리 표시

 

dir_last.gif

22 x 20

트리구조에서 마지막 디렉토리 표시

 

dir_line.gif

22 x 20

트리구조에서 디렉토리 연결선 표시

 

  나. 디렉토리 아이콘의 추가

  디렉토리 아이콘은 해당 디렉토리 아이콘을 작성한 후 파일 선택하여 “적용”버튼을 눌러 서버로 업로드 하면 추가됩니다.

► 아이콘 이미지는 임의의 사이즈로 자동축소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로 세로 규격이 너무 큰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등록할 경우 웹서비스가 틀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 파일 아이콘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파일아이콘의 규격은 가로 16픽셀, 세로 16픽셀의 gif파일입니다. 파일 아이콘은 디렉토리 내에 존재하는 파일에 대해서만 확장자를 지정하는 형태로 설정됩니다.

  파일 아이콘 왼쪽에는 삭제를 위한 ‘x’이미지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됩니다.

  파일아이콘을 추가하려면 규격에 맞는 아이콘을 작성하여 "찾아보기"로 파일을 선택하여 전송합니다. 전송 후 추가되는 입력창에 관련 파일의 확장자를 입력합니다.

 

 

6) SSL 설정하기

맨위로

 

 

 

 

  SSL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시켜 전송하는 보안기법입니다. SSL을 사용하기 위해서 웹서버는 Open SSL 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OpenSSL이 설치되지 않은 웹서버에서 쎄지오를 설치하면 웹데몬의 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그림은 SSL 설정화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SSL 은 서비스포트, 루트인증서, 서버인증서, 개인키 등 4가지의 구성요소를 필요로 합니다. SSL 설정은 인증서 파일의 업로드, SSL 인증포트 등록의 2 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가. 인증서 파일 업로드

  인증서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과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관련 정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SSL 구성에 필요한  루트인증서, 서버인증서, 개인암호키 파일은 “찾아보기”버튼을 클릭하여 모두 서버로 업로드합니다.

 

 나. 인증서 파일 삭제

  성공적으로 업로드된 파일 가운데 SSL 설정에 참여하지 않는 파일은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목록으로 나타납니다. 파일의 왼편에 있는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삭제하기”버튼을 클릭하면 파일이 삭제됩니다.

 

 다. SSL 인증 포트 등록

  SSL 설정하기에는 설정된 SSL 내용의 목록이 표시됩니다. 목록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 “New”영역에 새로운 SSL 인증 포트를 등록하게 됩니다. https 의 대표 서비스 포트는 443 포트입니다. 통상적인 SSL 서비스는 443만을 이용하여도 되지만 호스팅을 전개한다면 다수의 서비스 포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희망하는 서비스 포트를 기입하고 루트인증서, 서버인증서, 개인암호화키 파일을 선택한 후 “적용”버튼을 클릭합니다. SSL 암호화 기법은 인증포트가 등록된 동시에 시행됩니다.

 

 라. SSL 서비스 적용하기

  "ssl restart"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설정된 SSL 보안 내용이 적용되어 SSL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시스템을 다시 실행시켜도 설정 내용대로 SSL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7)  시스템정보 보기

맨위로

 

 

 

  쎄지오는 처음 설치 과정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작업을 웹서비스 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쎄지오 사용중 누적 데이터의 증가속도는 시스템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쎄지오관리자에게 시스템의 요약정보를 볼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화면을 제공합니다.

 

 

 

 가. 시스템 정보

  쎄지오는 게시판, 자료실, 동호회 운영으로 파일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간혹 파일운용공간의 부족으로 정상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웹상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합니다.

 

 나. 쎄지오정보

  쎄지오 라이선스는 인트라셀의 수, 최대사용자, 최대 전자우편 사용자, 최대 동호회 운영수를 기준으로 라이센스를 제한합니다. 쎄지오 관리자가 인트라셀을 설치하여 웹서비스를 제공할 때 각 인트라셀은 전체 라이선스 이내의 유효범위에서 사용량을 한정하게 됩니다.

 

답글지움수정인쇄 아랫글 목록 윗글
댓글달기